『구술사연구』는 매년 3월말과 9월말에 학회지를 발간합니다. 3월호는 1월 30일까지, 9월호는 7월 30일까지 논문을 제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원고와 함께 <게재신청서>와 <원고게재확인서>를 이메일로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원고를 보내실 때, 표지에 ‘연구논문’ 또는 ‘구술에세이’를 명기해 주시고,심사료 6만원을 학회 편집위원회 계좌 국민 778801-04-357792 (예금주 문현아) 로 보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1) 투고 마감일: 3월호 매년 1월 30일, 9월호 매년 7월 30일


2) 발행 예정일:매년 3월 말, 9월 말 (연2회)


3) 투고하실 곳: 한국구술사학회 홈페이지 우측 상단 '온라인논문투고' 클릭.
온라인투고시스템 내에서 논문투고 항목이 보이지 않을 경우 편집위원회에 문의해주십시오.
(문의하실 곳: 한국구술사학회 편집위원회(kohajournal@gmail.com))

4) 투고할 때, 아래의 사항을 엄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1) 원고는 반드시 <아래 한글 2007> 버전 이상으로 작성 
    (2) 논문 형식 - [구술사연구] <원고작성요강> 준수


5) 투고와 관련한 각종 서식은 아래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원고작성요강 


 

1. 원고는 한글, 영어, 일본어 등으로 작성할 수 있으며, 한글 프로그램 또는 Microsoft Word로 작성한다.



2. 모든 원고에는 참고문헌 다음 부분에 한글 <요약>과 영어 가 첨부되어야 한다. 한글 <요약>은 800자 내외로 작성하고, 아래에 주제어를 5개 내외로 제시한다. 영어 는 500단어 이내로 작성하고, 아래에 key words를 5개 내외로 제시한다.


3. 논문 제목의 부제는 앞에 ‘:’을 달아 연결한다.

   (예) 구술사와 지역문화예술운동: 공주지역의 ‘이야기를 사는 가게’ 프로젝트 사례

4. 연구비 출처나 감사의 글은 제목의 어깨에 각주 1)을 달고 쓴다.


5. 저자의 소속, 직책, 전공, 이메일 주소는 이름의 어깨에 각주 2)를 달고 쓴다.


6. 영어 원고나 영어 에서 필자의 영어 이름은 성을 먼저 쓴 뒤 콤마를 찍고, 나머지 이름은 자신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적는다.

   (예) Hong, Kil Dong
          Hong, Kildong
          Hong, Kil-Dong

7. 논문의 제목, 소제목, 본문, 인용문, 각주, 참고문헌, 요약, abstract 등 원고의 모든 글자 크기는 10 포인트, 줄 간격은 160%로 한다.


8. 제목과 소제목, 인용문은 앞뒤로 한 줄씩만 띄운다.


9. 본문 안의 소제목 번호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한다.

   (예) 1. 심층면접조사를 통해서 본 민주화운동 참여자의 실태
          1) 조사결과 분석
          (1) 그들도 평범한 출신이다
        가. 어린 시절 우리사회에 대한 인식

10. 문단의 첫째 줄은 두 칸을 띄어 쓴다. 단어와 단어 사이, 문장과 문장 사이는 한 칸만 띄운다.


11. 한글 원고는 한글을 원칙으로 하되, 꼭 필요한 한자나 외래어는 첫 번째에 한하여 괄호 안에 넣어 함께 쓴다. 외국인의 인명도 한글로 표기하며, 첫 번째에 한하여 원어를 괄호 안에 넣어 함께 쓴다.

    (예) 무교(巫敎)는
           구술사(oral history)는
           톰슨(Thompson)은

12. 표와 그림에는 일련번호를 붙이되, 표에는 <  >, 그림에는 [  ]와 같은 괄호를 사용하고, 표의 제목은 상단에, 그림의 제목은 하단에 제시한다. 표와 그림은 원본 그대로 인쇄할 수 있도록 저자가 완벽하게 만들어 제출한다.

    (예) <표 1>, [그림 1]


13. 주는 모두 각주를 사용하며, 본문 및 각주의 저술인용 표시는 다음과 같이 한다.
    1) 저자의 이름이 언급된 경우에는 괄호 속에 발행년도, 또는 발행년도와 해당 면을 표시한다. 외국인의 인명은 첫 번째에 한하여
    괄호 속에 원어를 쓴다.

       (예) 이러한 맥락에서 홍길동(2007)은 …
            톰슨(Thompson 1978: 15)은 … 톰슨(1978)의 주장에 따르면 …
    2) 저자의 이름이 언급되지 않은 경우에는 해당 부분 말미에 괄호를 하고, 그 속에 저자명과 발행년도, 해당 면을 표시한다.
       (예) … 한다는 사실이 지적되었다(홍길동 2007: 18).
            한 연구(홍길동 2007)에 의하면 …
    3)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저술을 인용하는 경우, 한글, 중국어, 일본어, 영어 등의 순으로 저자를 나열하고, 같은 문자를 사용하
    는 저자들은 연도순으로 쌍반점(;)을 사용하여 저술을 구분한다.

       (예) … 지적되었다(홍길동 1993: 20-21, 2000: 18; 이도령 2005; Thompson 1978; Portelli 1998: 63).
    4) 저자가 다수일 경우 2인까지는 모두 표시하되, 3인 이상은 첫 번째 저자만 나타낸다.
       (예) … (홍길동ㆍ이도령 1990: 34-36; 홍길동 외 2003; Hong and Lee 1968; Pillemer et al. 1991).


14. 구술 자료의 인용은 다음과 같이 한다.

1) 구술 자료는 생성된 자료임으로 인터뷰의 맥락을 제공해야 한다. 인터뷰의 목적, 인터뷰 시간 및 장소, 연구자와 구술자와의 관계 및 라포 정도 등을 본문에서 설명한다.
2) 구술 자료는 원사료인 음성파일과 녹취문을 함께 사용한다. 따라서 인용 시에도 음성파일과 녹취문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3) 연구자의 질문을 함께 삽입한다. 맥락에 따라서 연구자의 질문이 없어도 될 경우는 생략이 가능하지만, 연구자의 질문을 넣는 것이 원칙이다.
4) 구술자의 구술 단락 중 일부를 인용할 때는 (중략) 또는 … 기호를 사용한다.
5) 구술에 편집 기호를 사용할 경우에는 각주에서 그 의미를 알려준다.
6) <각주>에 밝힐 때, 구술아카이브가 없는 경우에는 구술자료 수집 날짜, 장소, 구술자 이름, 회차를 기입한다. 기관의 구술아카이브가 있을 경우에는 아카이브명과 자료번호를 명기한다.

(예)
1) 녹취문의 경우
   (1) 구술아카이브가 없는 경우
       (예) 2011년 4월 6일, 한국구술사연구소, 김명순의 1차 인터뷰 중에서

   (2) 구술아카이브가 있는 경우
       (예) 서울시사편찬위원회 구술자료번호 OH-서울시민의이야기-서영순-06-01.hwp
            (발행된 자료집이 있을 경우에는 쪽 번호 삽입)

2) 음성파일의 경우
   (1) 구술아카이브가 없는 경우
       (예) 2011년 4월 6일, 한국구술사연구소, 김명순의 1차 인터뷰, 00:32:11-00:33:08

   (2) 구술아카이브가 있는 경우
       (예) 서울시사편찬위원회 구술자료번호
            OH-서울시민의이야기-서영순-03-01.mp3, 1:21:05-1:21:22

3) 본문의 예
   (1) 구술아카이브가 없는 경우

   
 (2) 구술아카이브가 있는 경우


15. 참고문헌의 작성은 다음과 같이 한다.

    1) 참고문헌은 본문이나 각주에 인용된 문헌만 표기한다.
    2) 참고문헌의 순서는 한국, 중국, 일본, 서양의 순서로 하고, 논문과 저서의 구별 없이 한국 것은 저자의 가나다 순, 중국과 일본
    의 것은 저자명 한자음의 가나다 순, 서양의 것은 알파벳의 순으로 한다.

    3) 같은 저자의 저술을 두 편 이상 제시할 때에는 연도순으로 나열한다. 같은 연도에 출판된 것이 두 편 이상일 때에는 본문에서 
    인용한 순서대로 출판년도에 영문자 a, b,  c 등을 부기하여 구분하고 차례대로 나열한다. 같은 저자의 두 번째 문헌부터는 
    저자의 이름 부분에 이름 대신에 밑줄을 긋는다.

    4) 저자가 2인 이상일 때에도 모든 저자의 이름을 기재하여야 한다. 영문저자의 이름은 가능하면 full name으로 쓴다.
    5) 단행본은 출판장소와 출판사를 명기해야 하며, 잡지나 학술지는 출판장소와 출판사를 명기할 필요가 없다.
    6) 논문은 “  ”로 싸며, 논문이 수록된 학술지나 책 속의 쪽수를 표시하도록 한다.
    7) 저서나 학술지 또는 단행본 중 한국이나 중국과 일본의 것은 『 』로 싸며, 서양의 것은 이탤릭체로 표시한다.
    8) 번역본은 번역본의 출판년도를 적고, 번역본의 서지사항 다음에 가능하면 원어의 서지사항을 괄호 안에 적는다.
    9) 학위논문은 학위 수여대학과 학위종류를 밝힌다.
   10) 자료는 저술이 끝난 다음에 한 줄을 띄우고, <자료>라고 표시한 뒤 적는다. 자료에는 신문자료 및 구술자료 등이 해당되며, 
    연구논문 다음에 배치한다.

   11) 구술 자료는 구술아카이브가 없는 경우에는 구술자 이름, 면담자 이름, 수집날짜를 기입한다. 구술아카이브가 있는 경우에
    는 아카이브명과 자료번호를 명기한다.

 

(예)
<참고문헌>
김철수, 1999,『정착촌 월남인의 생활경험과 정체성: 속초 ‘아바이마을’과 김제 ‘용지농원’을 중심으로』, 한국대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______  2007,『1980년대 민주화운동 참여자의 경험과 기억』, 서울: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마커스, 조지ㆍ마이클 피셔, 2005,『인류학과 문화비평』, 홍길동 옮김, 서울: 아카넷.
        (Marcus, George E. and Michael M. J. Fischer, 1986, Anthropology as Cultural Critiqu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홍길동, 2002a, “여성주의 구술사의 방법론적 성찰,”『한국문화인류학』35(2): 31-64.
______  2002b, “구술사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한국구술사학회 창립학술대회 발표집』, pp. 1-14.
______  2002c, “구술사란 무엇인가,” 한국대 구술사연구소 세미나 발표논문.
홍길동ㆍ이도령, 2007, “구술과 문헌의 경계를 넘어서,” 홍길동ㆍ이도령ㆍ김철수ㆍ허균 편, 『새로운 역사 쓰기를 위한 연구방법론』, 서울: 아르케, pp. 25-79.
Perks, Robert and Alistair Thomson (eds.), 1998, The Oral History Reader, New York: Routledge.
Pillemer, David B., Lynne Krensky, Sandra N. Kleinman, Lynn R. Goldsmith, and Sheldon H. White, 1991, “Chapters in Narratives: Evidence From Oral Histories of the First Year in College,” Journal of Narrative and Life History 1(1): 3-14.
Portelli, Alessandro, 1998, “What makes oral history different,” in Robert Perks and Alistair Thomson (eds.), The Oral History Reader, New York: Routledge, pp. 63-74.
Vansina, Jan, 1985, Oral Tradition as History, Madis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자료>
신현제 구술, 윤택림 면담, 2014년 5월 22일 인터뷰.(구술아카이브가 없는 경우)
국사편찬위원회 구술자료번호 OH_09_019_김정섭_06.hwp.(구술아카이브가 있는 경우)
『한국신문』, 2004년 8월 15일자.
『역사저널』, “기억에서 역사로”(홍길동), 1994년 11월 30일자, pp. 23-24.
New York Times, 2009년 5월 13일자.


 



 
개인정보처리방침
[우 15588]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 55, 한양대학교 ERICA 국제문화관 402호
COPYRIGHT 2015 한국구술사학회. ALL RIGHTS RESERVED.